우리가 자주 가는 의원에도 종류가 있다는 거 아시나요? 간판을 통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어느 동네를 가나 의원이 많습니다. 하지만 여기서 의원이란 이름이 앞에 붙냐 뒤에 붙냐에 따라 이력이 달라지게 됩니다.
우선 의원은 일반의와 전문의로 나눠지게 되는데 두 가지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.
일반의 과정
의대 졸업 - 의사 국가고시 합격 - 의사 면허 취득 - 일반의
전문의 과정
일반의 과정에서 추가로 1년간 인턴 - 전공과 선택 - 3~4년간 레지던트 - 전문의 시험 합격 - 전문의
이와 같이 일반의가 개원한 의원과 전문의가 차린 의원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의원의 이름이 어디에 있냐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좋은 의원 이라고 이름을 지을 경우에
일반의 : 빠른 의원 피부과
전문의 : 피부과 빠른 의원
이런식으로 일반의는 의원 뒤에 진료 과목을 넣어야 하고 전문의 경우 의원 앞에 진료과목을 넣어서 간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이러한 정황으로 봤을때 객관적으로 전문의가 일반의에 비해 지식과 경험이 더 많다고 쉽게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일반의 또한 오랜경험과 진료이력이 있을 경우엔 실력이 없다고 함부러 판단할 수 없으므로 진료시 이러한 사항을 알고 선택을 하시는게 좀 더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.
그리드형(광고전용)
'꿀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로또 역대급 1등 당첨 많이 된 번호 ㄷㄷ (0) | 2022.02.18 |
---|---|
"매달 현금 지급합니다" 장수&효도 수당 신청하세요 (0) | 2022.02.18 |
교통위반 과태료 50% 절감해주는 제도 (+신청대상) (0) | 2022.02.16 |
"직장인에게 호텔비 지원" 많은 직장인들이 몰라서 못 받는 제도 (0) | 2022.02.16 |
"계좌입금 잘못해도 이거 알아두면 돌려받는다" 착오송금 예방 (0) | 2022.02.16 |
댓글